프리랜서 3.3% 세금 정산,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초보 가이드
프리랜서 원천징수 3.3%의 의미부터 종합소득세 신고와 환급/추가납부까지 핵심만 요약했습니다.
1) 3.3% 세금이란?
프리랜서 소득은 지급 시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0.3% = 총 3.3%가 원천징수됩니다. 이는 최종 세금이 아닌 선납(가납부) 개념입니다.
- 예: 외주비 1,000,000원 → 원천징수 33,000원 공제 → 실수령 967,000원
2) 왜 정산이 필요한가
3.3%는 개인의 실제 지출·공제를 반영하지 못합니다.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필요경비·공제를 반영해 최종 세액을 다시 계산합니다.
정리: 필요경비가 많으면 환급, 경비가 적거나 소득이 높으면 추가 납부 가능.
3) 종합소득세 신고 흐름
- 국세청 홈택스 / 손택스 접속 후 로그인
- 지급명세서 기반 소득내역 자동 불러오기
- 필요경비·소득/세액공제 입력
- 세액 산출 → 환급 or 추가 납부 결정
초보라면 간편 신고 서비스(예: 모바일 간편 신고, 세무대리인)를 활용하면 계산과 제출이 쉬워집니다(수수료 발생 가능).
4) 환급/추가 납부 사례
구분 | 연소득 | 필요경비 | 원천징수(3.3%) | 최종 세액 | 결과 |
---|---|---|---|---|---|
A 디자이너 | 20,000,000원 | 7,000,000원 | 660,000원 | 400,000원 | 환급 260,000원 |
B 강사 | 15,000,000원 | 2,000,000원 | 495,000원 | 600,000원 | 추가 납부 105,000원 |
※ 위 수치는 이해를 위한 예시입니다. 실제 산출세액은 공제/세액공제에 따라 달라집니다.
5) 절세 팁
- 지출 증빙 습관화 — 업무 관련 결제는 카드/현금영수증/세금계산서로 남기기
- 소득공제 체크 — 건강보험·국민연금, 연금저축, 신용카드 사용액 등
- 세액공제 활용 — 기부금, 전자신고 세액공제, 청년감면 등
- 모의 계산 — 신고 전 홈택스 계산기로 예상 세액 점검
6) 신고하지 않으면?
- 무신고 가산세: 산출세액의 최대 20%
- 납부불성실 가산세: 미납 기간만큼 이자 가산
결론: 기한 내 신고가 최선의 절세입니다.
7) 자주 묻는 질문
3.3%만 내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?
아니요. 3.3%는 선납 개념이라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로 정산해야 합니다.
환급은 언제 들어오나요?
보통 5월 신고 후 7~8월 사이에 환급됩니다(개인별 상이).
경비로 인정되는 항목은?
업무 관련 장비(노트북/카메라/소프트웨어), 통신·인터넷, 교통비, 교육·컨설팅 비용 등. 증빙이 핵심입니다.
지금 바로 준비하세요!
홈택스에서 신고 준비하기